Eggs Sunny Side Up
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399

[CSS] display, none p태그입니다. p태그입니다. p태그입니다. span태그입니다. span태그입니다. span태그입니다. Q. 오늘은 무슨 요일인가요? A. 화요일임. Q. 점심은 뭐 드셨나요? A. 제육 굿 최애는 누구인가요? 2023. 3. 28.
[Java] 편지 문제 설명 머쓱이는 할머니께 생신 축하 편지를 쓰려고 합니다. 할머니가 보시기 편하도록 글자 한 자 한 자를 가로 2cm 크기로 적으려고 하며, 편지를 가로로만 적을 때, 축하 문구 message를 적기 위해 필요한 편지지의 최소 가로길이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 제한사항 공백도 하나의 문자로 취급합니다. 1 ≤ message의 길이 ≤ 50 편지지의 여백은 생각하지 않습니다. message는 영문 알파벳 대소문자, ‘!’, ‘~’ 또는 공백으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. 입출력 예messageresult "happy birthday!" 30 "I love you~" 22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#1 message의 글자 수가 15개로 최소 가로 30cm의 편지지가 필요합.. 2023. 3. 28.
[Java] 배열 두배 만들기 문제 설명 정수 배열 number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. numbers의 각 원소에 두배한 원소를 가진 배열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 제한사항 -10,000 ≤ numbers의 원소 ≤ 10,000 1 ≤ numbers의 길이 ≤ 1,000 입출력 예numbersresult [1, 2, 3, 4, 5] [2, 4, 6, 8, 10] [1, 2, 100, -99, 1, 2, 3] [2, 4, 200, -198, 2, 4, 6]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#1 [1, 2, 3, 4, 5]의 각 원소에 두배를 한 배열 [2, 4, 6, 8, 10]을 return합니다. 입출력 예 #2 [1, 2, 100, -99, 1, 2, 3]의 각 원소에 두배를 한 배열 [2, 4, 2.. 2023. 3. 28.
[Java] 순서쌍의 개수 문제 설명 순서쌍이란 두 개의 숫자를 순서를 정하여 짝지어 나타낸 쌍으로 (a, b)로 표기합니다. 자연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두 숫자의 곱이 n인 자연수 순서쌍의 개수를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 제한사항 1 ≤ n ≤ 1,000,000 입출력 예nresult 20 6 100 9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#1 n이 20 이므로 곱이 20인 순서쌍은 (1, 20), (2, 10), (4, 5), (5, 4), (10, 2), (20, 1) 이므로 6을 return합니다. 입출력 예 #2 n이 100 이므로 곱이 100인 순서쌍은 (1, 100), (2, 50), (4, 25), (5, 20), (10, 10), (20, 5), (25, 4), (50, 2), (100.. 2023. 3. 28.
조건문 1. if문 if True : print("실행문장 실행") # 실행문장 실행 # if문에서 조건식이 False였을 때는 아무것도 실행하지 않고 끝이 남. if False : print("실행문장 실행") 1.1 들여쓰기의 중요성 if True : print("실행문장 실행") # 들여쓰기가 맞지 않을 경우 셀 처음으로 이동하여 tab으로 조정하기 print("if문 밖에 있는 실행문장") # if문 밖에 있는 들여쓰기를 벗어난 실행문장만 False 영향을 받지않고 출력 if False : print("실행문장 실행") print("if문 밖에 있는 실행문장") # if문 밖에 있는 실행문장 money = 8000 if money >= 10000 : print("택시를 탄다.") 2. if ~ else .. 2023. 3. 28.
연산자 산술연산자(숫자) # 변수 2개에 값을 각각 대입 a = 6 b = 4 # 나누기, 나머지, 몫 구하기 실습 print(6/4) # 1.5 print(6%4) # 2 print(6//4) # 1 문자열 연산 # 더하기 str1 = "everybody " str2 = "nice to meet you" # 문자열 연산 str1 + str2 # 'everybody nice to meet you' # 숫자와 문자열 더할 수 있을까? str1 = "everybody " num1 = 3355 str2 = "hang out with together" print(str1+num1+str2) # everybody 3355hang out with together # num1 변수의 값을 문자열로 반환하여 문자열 + 연산을.. 2023. 3. 27.